Cloud/Amazon Cloud

데이터베이스를 로컬 컴퓨터(서버 개발자가 작업하는 컴퓨터)에 두는 것은 좋지 않다. 컴퓨터를 끄면 데이터베이스 접속이 안되기도 하고, 로컬 컴퓨터에 접속을 한다는 것은 해당 컴퓨터의 데이터베이스로 접속이 되도록 포트포워딩을 해야한다는 소리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도 EC2처럼 외부 컴퓨터를 빌려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EC2에 데이터베이스를 설치해서 사용해도 좋으나, RDS를 사용하게 될 경우 더 유연하게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 수 있기에 RDS를 설정해서 사용해보자. 서브넷 추가 생성 [AWS] 프리티어 VPC를 이용한 EC2 구축(VPC, 보안그룹, EC2 생성, 탄력적 IP 설정) VPC를 이용한 EC2 환경 구축 AWS에 로그인 후(교육용 계정 아님) VPC를 검색한다. VPC 생성에 들어와서 VPC..
VPC를 이용한 EC2 환경 구축 AWS에 로그인 후(교육용 계정 아님) VPC를 검색한다. VPC 생성에 들어와서 VPC등 말고 VPC만을 선택하고 아래 사진처럼 설정한다. AWS는 이름을 지을 때 띄어쓰기 대신 -(하이픈)을 사용한다. 태넌시와 태그는 그대로 사용해도 무방하다. 이제 서브넷을 만들 차례이다. 옆에 사이드 바에서 서브넷을 클릭하자. 아래 사진처럼 서브넷을 생성한다. VPC는 방금 만든 VPC로 선택 CIDR은 10.0.1.0/24로 설정 이제 Internet Gateway를 만들자.(옆 사이드바에서 찾을 수 있다.) Internet Gateway는 그냥 이름만 정해주면 된다.(줄여서 IG라고 부른다.) 생성한 Internet Gateway에 VPC를 연결해준다.(오른쪽 위에 VPC에 연..
리전 AWS에서 수많은 컴퓨팅 서비스를 하려면 당연히 대규모의 서버 컴퓨터를 모아 둔 곳이 필요할 것이다. 이 때 한 곳에 전부 다 몰아두면 아래의 2가지 불편한 점이 생긴다. 자연 재해가 발생 할 경우 모든 서비스가 마비가 된다. 모든 자원이 북미에 있다면, 지구 반대편의 아시아 지역은 멀어서 서비스가 느리다. 따라서 위의 2가지 문제를 해결하고자 서비스를 하기 위한 자원들을 여러 곳에 분산해서 배치를 해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가용영역 가용영역은 리전을 한번 더 분산해서 배치한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VPC VPC는 독립적인 가상의 네트워크 공간으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서브넷 생성, 라우팅 테이블,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구성 등 네트워킹..
도구혜지루루
'Cloud/Amazon Cloud' 카테고리의 글 목록